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득세율 나라별 비교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 미국, 영국, 일본) 4개국

by 지적호기심1 2023. 6. 2.
반응형

소득세는 정부 수입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국가의 재정 정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득세율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한국, 미국, 영국, 일본 등 4개국의 소득세율 비교 개요를 소개합니다. 이 국가들이 소득세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 세금 그림
세금 그림

한국

한국에서 소득세율은 누진적이며, 이는 소득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3년 기준 한국 거주자의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1200만 원(약 10,800달러) : 6%

1200만원~4600만원(약 41,600달러) : 15%

4600만원~8800만원(약 79,500달러) : 24%

8800만원~1억5000만원(약 135,400달러) : 35%

1억 55천만 원 이상 : 38%

또한 소득에 따라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지방소득세와 국민건강보험료가 있습니다.

 

미국

미국은 여러 개의 세금 구분이 있는 누진 소득세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3년 개인에 대한 연방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9,950달러: 10%

$9,951 - $40,525: 12%

$40,526 - $86,375: 22%

$86,376 - $164,925: 24%

$164,926 - $209,425: 32%

$209,426 - $523,600: 35%

$523,600 이상: 37%

연방 세금 외에도, 각 주는 주마다 다른 소득세를 부과합니다.

 

영국

영국에서는 소득세율도 누진적입니다. 2022/2023 과세연도에 잉글랜드, 웨일스 및 북아일랜드의 개인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12,570: 0%

£12,571 - £50,270: 20%

£50,271 - £150,000: 40%

150,000파운드 이상: 45%

스코틀랜드는 영국의 다른 지역과 다른 자체 소득세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

일본은 여러 개의 세금 구분이 있는 누진 소득세 체계를 따르고 있습니다. 2021년 과세연도 일본의 개인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195만 파운드(17,700달러): 5%

195만 달러 - 330만 달러(17,700달러 - 29,900달러): 10%

330만원 - 695만원(약 29,900달러 - 63,000달러): 20%

695만 달러 - 900만 달러(63,000달러 - 81,600달러): 23%

¥9백만 - ¥1,800(81,600달러 - 148,200달러): 33%

1,800만 파운드 이상: 45%

지방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이 추가로 적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결론

소득세율은 국가에 따라 다르며 회계연도마다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국가의 소득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과 기업이 그들의 재정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각 나라마다 세율 구간이 다릅니다. 해당 국민의 소득 수준에 따른 기준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