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금창조와 통화승수에 대해 알아보자

by 지적호기심1 2024. 5. 23.
반응형

오늘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예금창조통화승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개념은 은행 시스템과 통화 공급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예금창조와 통화승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예금창조란?

예금창조는 은행 시스템이 새로운 예금을 창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아들여 이를 기반으로 대출을 해주며, 이 과정에서 통화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은행은 초기 예금을 몇 배로 늘릴 수 있습니다.

예금창조의 과정:

  1. 초기 예금: 고객이 은행에 돈을 예금합니다. 예를 들어, A씨가 은행에 1,000만 원을 예금한다고 가정해봅시다.
  2. 지급준비율: 은행은 이 예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합니다. 만약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은행은 100만 원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나머지 900만 원을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3. 대출과 재예금: 은행이 900만 원을 B씨에게 대출해주면, B씨는 이 돈을 다시 다른 은행에 예금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은행 시스템 전체에서 통화가 증가하게 됩니다.
돈 이미지
돈 이미지

★통화승수란?

통화승수는 은행 시스템이 예금창조 과정을 통해 얼마나 많은 통화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통화승수는 지급준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통화승수 계산:

통화승수(M)는 지급준비율(r)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즉, 𝑀=1𝑟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 (0.1)라면, 통화승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𝑀=10.1=10

이는 초기 예금 1원이 은행 시스템 전체에서 10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금창조와 통화승수의 관계

예금창조와 통화승수는 은행 시스템이 어떻게 통화를 창출하는지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통화승수는 높아지고, 이는 더 많은 통화가 창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시로 보는 예금창조와 통화승수:

  1. 초기 예금: 1,000만 원
  2. 지급준비율: 10% (0.1)
  3. 통화승수: 10

은행이 1,000만 원의 예금을 받으면, 100만 원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하고, 900만 원을 대출해줄 수 있습니다. 이 900만 원이 다시 예금되어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은행 시스템 전체에서 창출된 통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총통화량=초기예금×통화승수=1,000만원×10=1억원

 

★경제에 미치는 영향

예금창조와 통화승수는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1. 통화 공급 확대: 은행 시스템은 예금창조를 통해 통화 공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소비와 투자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금융 안정성: 적절한 지급준비율 설정은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너무 낮은 지급준비율은 은행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금융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통화 정책 효과: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통화 승수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통화 공급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경제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예금창조와 통화승수는 은행 시스템이 어떻게 통화를 창출하고,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아 이를 기반으로 대출을 해주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통화가 창출됩니다. 지급준비율은 통화승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은행 시스템 전체에서 창출될 수 있는 총통화량을 결정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통화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